홍콩은 1997년 중국에 반환되었고, 반환 당시 중국은 홍콩에 대해 일국양제 체제를 유지할 것을 약속하였으며, 영국은 그와 같은 약속을 믿고 홍콩을 중국에 반환한 것입니다.
그러나 중국은 그와 같은 약속을 지킬 생각은 전혀 없었던 것으로 보이고, 그 이후 홍콩을 공산화시켜버렸는데, 중국의 전략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1. 홍콩에 많은 중국인들을 이주시켜서 점차 인구 비율을 늘렸는데, 들리는 소문에 의하면 전체 인구의 30-40%가 친중이거나 중국인이라고 합니다.
2. 홍콩의 정치인들 중 친중인사들로 점차 채워나갔습니다. 처음에는 그와 같은 상황을 잘 모르도록 친중인사라는 것 자체를 모르도록 하였지만, 어느 순간 세력이 생기게 되면 친중행보를 시작하는 것입니다.
3. 알게 모르게 중국문화, 중국음식 등을 홍콩에 계속 투입시키고, 심지어 중국 기업들이 진출하여 홍콩인들이 중국의 물건들을 사용하게 만들기 시작합니다.
4. 홍콩에 중국인들이 많아지게 되면, 시민단체를 만들어서 중국 공산당의 지령대로 움직이고 사회 혼란을 야기시키기 시작합니다.
5. 때가 무르익게 되면 친중, 반영 운동을 사회 곳곳에서 일으키고 '하나의 중국'이라는 타이틀을 내걸고 영국을 침략자라는 프레임을 씌워 여론을 선동하기 시작합니다.
6. 또한 인지도가 높지 않은 유튜버 등 인플루언서를 돈으로 포섭한 다음 그들을 의도적으로 키워서 영국, 미국을 비판하고, 친영, 친미인 정치인들 및 가족들을 폭로하며 유력 정치인들을 친중인사들로 채워서 국가의 주요 요직을 맡게 되면, 친중 법안을 만들게 됩니다.
7.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홍콩이 친중 법안을 제정하자, 홍콩시민들은 그때서야 비로소 공산화가 목전에 이르게 되었다는 것을 깨닫고 홍콩 인구 800만명 중 200만명이 나와 우산혁명을 시도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미 때는 늦었고, 홍콩 정치인 뿐만 아니라, 홍콩 사법부도 이미 친중 인사들로 채워지게 되어 우산 혁명을 주도한 인사들은 전부 체포하였고, 힘으로 우산혁명을 진압하였으며, 더 강력하게 탄압하는 법률안을 만들어 버렸습니다.
그 이후 홍콩의 학생의 아래와 같은 외침이 절절하게 다가옵니다.
왠지 현재 우리나라 상황과 매우 유사하지 않나요?
'International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원도 강릉 마약(코카인) 1.7톤 선박 적발 (4) | 2025.04.03 |
---|---|
민주당의 간첩법 확대 반대에 대하여 (4) | 2024.12.13 |
우크라이나 러시아 본토 공격 및 한국 개입 반대 (4) | 2024.11.20 |
미국 대선 결과 실시간 알고 싶다면 (2) | 2024.11.06 |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한 북한군에 대한 소고 (16) | 2024.10.25 |
댓글